최종편집 : 2024.06.02 22:37
Today : 2024.06.03 (월)

  • 맑음속초12.6℃
  • 맑음13.2℃
  • 맑음철원12.8℃
  • 맑음동두천14.2℃
  • 맑음파주13.6℃
  • 맑음대관령6.6℃
  • 맑음춘천14.6℃
  • 구름많음백령도16.3℃
  • 맑음북강릉13.1℃
  • 맑음강릉13.7℃
  • 맑음동해13.0℃
  • 맑음서울17.0℃
  • 맑음인천16.6℃
  • 맑음원주15.6℃
  • 구름많음울릉도14.5℃
  • 맑음수원14.4℃
  • 구름많음영월14.4℃
  • 구름조금충주14.8℃
  • 맑음서산14.3℃
  • 맑음울진14.0℃
  • 맑음청주18.2℃
  • 맑음대전15.5℃
  • 맑음추풍령13.0℃
  • 구름조금안동15.0℃
  • 맑음상주15.3℃
  • 흐림포항16.5℃
  • 맑음군산15.4℃
  • 구름많음대구16.8℃
  • 맑음전주16.3℃
  • 비울산15.7℃
  • 구름많음창원16.4℃
  • 구름많음광주17.3℃
  • 구름많음부산16.9℃
  • 구름많음통영16.3℃
  • 구름많음목포17.3℃
  • 구름많음여수18.0℃
  • 구름많음흑산도17.6℃
  • 구름많음완도17.9℃
  • 구름많음고창14.5℃
  • 구름많음순천11.1℃
  • 맑음홍성(예)15.1℃
  • 맑음13.7℃
  • 구름많음제주19.0℃
  • 구름많음고산17.9℃
  • 흐림성산19.5℃
  • 구름많음서귀포19.7℃
  • 구름많음진주14.3℃
  • 맑음강화14.2℃
  • 맑음양평14.7℃
  • 맑음이천14.4℃
  • 맑음인제11.1℃
  • 맑음홍천14.0℃
  • 맑음태백10.9℃
  • 맑음정선군10.2℃
  • 흐림제천15.3℃
  • 맑음보은12.6℃
  • 맑음천안12.5℃
  • 맑음보령14.3℃
  • 맑음부여13.0℃
  • 맑음금산12.7℃
  • 맑음14.2℃
  • 맑음부안15.2℃
  • 맑음임실12.1℃
  • 구름많음정읍13.5℃
  • 구름많음남원13.8℃
  • 맑음장수10.8℃
  • 구름많음고창군13.3℃
  • 구름많음영광군14.1℃
  • 구름많음김해시16.0℃
  • 구름많음순창군13.1℃
  • 구름많음북창원17.1℃
  • 구름많음양산시17.2℃
  • 구름많음보성군16.5℃
  • 구름많음강진군15.3℃
  • 구름많음장흥14.1℃
  • 구름많음해남14.9℃
  • 구름많음고흥14.1℃
  • 구름많음의령군15.8℃
  • 구름조금함양군13.0℃
  • 구름많음광양시16.6℃
  • 구름많음진도군14.1℃
  • 구름조금봉화13.6℃
  • 구름조금영주14.7℃
  • 구름조금문경13.6℃
  • 구름많음청송군13.2℃
  • 흐림영덕14.0℃
  • 구름많음의성14.3℃
  • 구름조금구미15.3℃
  • 구름많음영천15.4℃
  • 흐림경주시15.8℃
  • 맑음거창13.2℃
  • 구름조금합천15.4℃
  • 구름많음밀양16.9℃
  • 구름많음산청14.4℃
  • 구름많음거제16.8℃
  • 구름많음남해16.5℃
  • 구름많음16.1℃
기상청 제공
[앵커브리핑] 어린이날, 한 세대 뒤에도 기념할 수 있을까?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앵커브리핑] 어린이날, 한 세대 뒤에도 기념할 수 있을까?

 

[천안신문-천안TV] 바로 어제, 그러니까 5월 5일은 어린이날이었습니다. 


어린이날을 맞을 때면 전국에서 어린이를 위한 이벤트가 열립니다. 그러나 앞으로 한 세대를 지나면 어린이날은 없어질지 모른다는 우려가 갈수록 커지는 상황입니다. 


바로 저출생 때문이죠. 인구통계학자들은 적어도 사회 공동체를 유지하려면 최소한 한 가정에서 두 명의 아이가 태어나야 한다는 데 견해를 같이합니다. 


하지만 우리나라 출생률은 1명에도 미치지 못하고, 그래서 전 세계가 한국의 저출생 문제를 걱정스러운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습니다. 왜일까요? 저출생 문제는 한국만의 문제가 아닌, 산업이 고도화된 선진국에서 나타나는 일반적인 현상입니다. 그러나 한국은 출생인구 감소세가 확연합니다. 


그리고 이에 따른 문제가 하나둘 씩 나타나는 중입니다. 무엇보다 학령인구가 줄어 없어지는 학교가 하나 둘 늘어나는 추세이고, 산부인과·소아과 병원은 폐업이 속출하는 중입니다. 


한국은 인구 감소가 가져오는 현상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BBC·CNN 등 주요 외신들이 한국의 인구 감소에 주목하는 이유도 바로 이 지점입니다. 


중앙정부나 지자체나 저출생 문제를 모르는 것 같지는 않아 보입니다. 그러나 이들이 내놓는 정책은 기껏해야 아이를 낳을 때마다 지원금을 더 주겠다는 것뿐입니다. 


지원금 규모와 출생률 사이에 의미 있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음에도 말입니다. 그보다 아이 낳아 잘 키우고 싶은 사회적 환경을 구축하는 데 정책적 역량을 집중해 주기 바랍니다. 우리 사회가 안고 있는 저출생 문제는 환경적 요인이 더 크게 작용합니다. 


최근 항간에 나도는 비속어 중엔 아이 키우는 엄마를 벌레에 빗대 비하하는 속어가 유행합니다. 


이런 사회적 분위기에서 누가 아이를 낳아 키우고 싶어 할까요? 정책 결정자들이 더 고민해야 합니다.


천안신문 후원.png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