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4.05.23 20:17
Today : 2024.05.24 (금)

  • 맑음속초17.6℃
  • 맑음18.1℃
  • 맑음철원17.1℃
  • 흐림동두천16.1℃
  • 흐림파주15.8℃
  • 구름조금대관령16.2℃
  • 맑음춘천17.3℃
  • 박무백령도14.6℃
  • 맑음북강릉18.5℃
  • 맑음강릉21.0℃
  • 맑음동해21.5℃
  • 박무서울16.4℃
  • 흐림인천15.0℃
  • 맑음원주19.1℃
  • 맑음울릉도19.9℃
  • 흐림수원15.1℃
  • 맑음영월16.6℃
  • 맑음충주15.8℃
  • 흐림서산15.3℃
  • 맑음울진23.1℃
  • 맑음청주19.0℃
  • 맑음대전18.7℃
  • 맑음추풍령19.3℃
  • 맑음안동18.7℃
  • 맑음상주20.2℃
  • 구름조금포항24.1℃
  • 흐림군산15.0℃
  • 맑음대구24.1℃
  • 박무전주16.0℃
  • 구름많음울산22.2℃
  • 구름조금창원20.1℃
  • 맑음광주19.3℃
  • 구름많음부산21.1℃
  • 구름많음통영18.1℃
  • 박무목포17.0℃
  • 구름많음여수22.2℃
  • 박무흑산도16.0℃
  • 구름많음완도19.0℃
  • 맑음고창
  • 구름많음순천19.0℃
  • 박무홍성(예)15.6℃
  • 맑음15.8℃
  • 구름많음제주20.1℃
  • 흐림고산17.2℃
  • 구름많음성산19.1℃
  • 구름많음서귀포19.7℃
  • 구름많음진주17.2℃
  • 흐림강화15.1℃
  • 맑음양평18.3℃
  • 맑음이천17.2℃
  • 맑음인제16.8℃
  • 맑음홍천17.5℃
  • 맑음태백15.6℃
  • 맑음정선군16.6℃
  • 맑음제천14.8℃
  • 맑음보은15.8℃
  • 맑음천안14.7℃
  • 흐림보령15.2℃
  • 맑음부여15.6℃
  • 맑음금산16.0℃
  • 맑음16.7℃
  • 구름많음부안15.0℃
  • 맑음임실14.3℃
  • 흐림정읍16.3℃
  • 맑음남원16.6℃
  • 맑음장수13.5℃
  • 맑음고창군15.5℃
  • 맑음영광군15.0℃
  • 구름조금김해시21.7℃
  • 맑음순창군15.9℃
  • 맑음북창원22.0℃
  • 맑음양산시21.0℃
  • 맑음보성군20.2℃
  • 맑음강진군
  • 구름많음장흥18.0℃
  • 구름많음해남17.5℃
  • 구름많음고흥17.1℃
  • 구름조금의령군18.7℃
  • 맑음함양군16.5℃
  • 구름많음광양시20.7℃
  • 구름조금진도군16.4℃
  • 맑음봉화15.0℃
  • 맑음영주18.2℃
  • 맑음문경15.9℃
  • 맑음청송군13.8℃
  • 맑음영덕23.5℃
  • 맑음의성14.4℃
  • 맑음구미20.5℃
  • 맑음영천20.1℃
  • 구름조금경주시19.8℃
  • 맑음거창16.4℃
  • 구름조금합천18.3℃
  • 맑음밀양20.7℃
  • 맑음산청18.1℃
  • 구름많음거제18.3℃
  • 구름많음남해19.4℃
  • 구름많음19.2℃
기상청 제공
[기획특집] 천안의 지명유래 ⑳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획특집] 천안의 지명유래 ⑳

목천읍 응원리․삼성리․도장리

[천안신문] 본보는 지난 151호부터 천안 각 읍면동의 지명유래에 대한 연재를 진행중이다.
천안이라는 지명에 대한 기록은 고려 태조 13년인 930년 8월 8일 기해 일에 고려태조가 대록에 내려와 동서도솔과 탕정의 일부와 사산의 일부와 대록의 일부를 병합하여 천안이라 하고 도독부를 둔데서 유래한다. 대록은 지금의 목천이요, 사산은 직산이며, 동도솔과 서도솔은 천안의 일부이며, 탕정은 온양 탕정의 일부다.
각 지역에 내려오는 천안의 지명은 1988년부터 이원표 선생이 동부 6개 면을, 1987년도부터 오세창 선생이 천안시를 조사해 1960년경 한글학회에서 발행된 ‘한국 지명총람’을 참고로 가감 수정해 동부 6개면은 1990년 천안군에서 ‘역사의 현장’으로 출간되었으며, 천안시는 1989년 천안문화원에서 ‘천안의 지명’으로 출간하였다. 그 후 1999년 천안시 문화원에서 시와 군에서 발행된 것을 합하여 ‘천안의 땅 이름이야기’로 출간했다. 이번 연재는 이를 바탕으로 했으며, 일부 내용은 천안 향토사학자 김종식 선생이 재조사를 통해 가감하였음을 밝혀둔다. <편집자 주>
사진2-목천면 도장리 마을(1930년).jpg▲ 목천면 도장리 마을(1930년).
 
▲응원리(應院里) 
응원리는 목천군 서면 응곡리와 원동리가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이루어진 마을인데, 마을명은 응곡리의 ‘응’자와 원동리의 ‘원’자에서 유래된 것이다.
 
▶응원1리(원골마을)
-산신제(山神祭) : 원골마을에서 지낸다. 정월 초순 생기 복덕일(生氣福德日)에 부정이 없는 사람이 제관이 되어 이 집 내외가 주관하여 지낸다. 소 발목과 삼색 실과와 떡을 차려 놓으며, 집집마다 소지를 올려 주는데 군인 간사람, 몸이 불편한 사람은 별도로 올려 준다. 제사를 지낸 후 마을 사람들은 함께 음식을 나누어 먹는다.
-큰적골 : 제사 지낼 때 쓰는 적처럼 생겼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작은적골 : 큰적골 옆의 작은 골을 말한다.
-방앗골 : 이곳에서 살면 부자가 된다고 한다. 옛날에 큰 부자가 이곳에서 살다가 이사 간 후에 방앗간이 남아 있었다고 한다.
-큰말림 : 동네 뒤의 큰 고랑을 말한다.
-산신당(山神堂)골 : 산신당이 있는 고랑으로 취암산(鷲岩山) 중턱에 있다.
-할미바위 : 앞산 중턱에 있는 바위로 할머니 허리처럼 구부정하게 생겼다. 이 바위를 위하면 오래 산다 하여 노인들이 예전에 위했었다고 한다.
-미륵대기밭 : 미륵같이 생긴 돌이 이곳에 있다.
-송(松)골 : 소나무가 많이 있는 골이다.
-납안들고개 : 납은현, 너분들고개, 납안현이라고도 하며 응원리에서 천안으로 가는 고개다. 넓은 돌이 있었다고 하며, 예전에 목천현(木川縣)에서 이곳에서 나는 은을 진상했다고 한다.
-매봉 : 응봉이라 하기도 한다. 막실 뒤에 있는 산으로 모양이 매처럼 생겼다.
-원골 : 원동이라고도 하며 응원리에서 가장 큰 마을이다. 조선조(朝鮮祖)때 천안 가는 길목으로 고개가 험하여 작은 말원(末院)이 있었다.
 
▶응원2리(막실)
-우물제(井祭) : 막실마을에는 물이 귀하여 우물을 잘 위하던 풍습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매년 정월 첫 용날 저녁 5시경에 동네 모든 사람들이 모여 지낸다.
-막실 : 응곡이라고도 한다. 원골 남쪽 매봉 밑에 있는 마을로 예전에 쇳일을 하던 사람들이 막(幕)을 짓고 일을 하였다고 한다.
-가장(假葬)골 : 종안말 서쪽에 있는 골짜기. 어린아이가 죽으면 이 곳에 묻었다고 하여 애장골이라고도 한다.
-소죽골 : 도장리(挑長里)와 경계인데 예전 이곳에서 쇠를 녹였다고 한다.
-각(角)골 : 소뿔처럼 뾰쪽하게 생겼다.
-말망봉 : 못골 남서쪽에 있는 봉우리로 말이 앞발을 들고 망을 보는 형국을 하고 있다고 한다.
-못골 : 나반들(납안들)고개 남쪽에 있는 골짜기로 못이 있다.
-숲거리 : 원골 앞에 있는 큰 길 냇가에 숲이 있었다고 한다.
-말망골 : 예전에 이곳에서 말을 길렀다고도 하고, 용마부도형의 명당(明堂)이 있다고도 한다.
-당(堂)골 : 옛날 이곳에 당집이 있었다고도 하고, 철을 담금질하던 곳이라고도 한다.
-불무골 : 철을 녹이기 위하여 토둑에 풀무질을 하였던 곳이라고 한다.
-젖바위 : 벼랑에 젖과 같이 튀어나와 있는데 잘 위하면 아들을 낳는다고 한다. 삼신바위라고도 한다.
-장터골 : 장(場) 보러 다니던 사람들이 쉬어가던 곳이라고 한다. 예전에 이곳에 장이 섰다고도 한다.
사진1-1970년대 새마을운동 캠페인.jpg▲ 1970년대 새마을운동 캠페인.
 
▲삼성리(三省里)
삼성리는 목천군 서면 삼층리, 도리티리, 신성리, 산곡리 일부가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이루어진 마을인데, 마을명은 삼층리의 ‘삼’자와 신성리의 ‘성’자에서 유래된 것이다.
 
▶삼성1리
-도리티 : 회리라고도 하며 도리티고개 옆에 있는 마을이다. 지금은 몇 호만 남아 있다. 미륵사라는 절이 있다. 옛날에 마을 앞에는 술집이 있었고 아래쪽으로는 모두가 논이었는데, 지금은 앞쪽에 숙박시설 등이 들어서고 아래쪽으로 예식장, 음식점, 목재소 등 상가가 들어섰다.
-장(場)고개 : 천안장을 보러 넘어 다니던 고개이다.
-신도(新道) : 신성, 삼거리를 아울러 이르는 이름이다. 옛날에는 신성마을과 지금의 부영아파트 입구 앞인 국도 1호선 변 7~8호가 살던 곳(지금은 천안-논산고속도로 신설로 인하여 여섯 집이 없어짐)까지의 지역을 신도라고 하였다.
-요순산.도리티고개 : 천안중리 뒷산으로 해서 이어진 높은 산으로 선비들은 요순산이라 부르며 선문대 뒷산을 공자산이라 부른다. 선문대 뒷산아래 공자의 이름인 자를 딴 중리마을이 있다. 일인들이 큰 선비가 난다하여 도로를 개설하며 산의 맥을 끊어 놓아 선비가 나지 않는다 한다. 예전에는 높은 고개였는데 도로가 개설되어 훤히 뚫렸다. 6.25 사변 당시 북괴군과 미군이 접전을 벌이던 곳이다. 이곳에서 미군 34보병연대 마틴(martin) 연대장(대령)이 북괴군과의 치열한 전투를 지휘하다가 북괴군의 포를 맞아 장렬히 전사했다. 이를 기념하는 마틴공원이 길가(천안시 삼룡동 396-13번지)에 조성되어 옛일을 전하고 있다.
※도리티고개를 일명 양오리고개라고도 한다. 즉 도리티고개 정상에서 삼층까지가 오리(2㎞), 천안 삼거리까지도 오리(2㎞)라하여 양오리고개라고 불렀다.
-고릉골 : 예전에 고씨 성을 가진 사람의 큰 무덤이 있었는데 없어졌다. 응원리와의 경계다.
-용정고개 : 풍세면 용정리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그르실 : 예전에 그릇점이 있어 그릇을 만들었다 한다.
-도랫말 : 도리티 고개 밑에 있는 마을이다. 몇 가구가 살았는데 지금은 번화가가 되었다.
-느티나무 : 수령 300년, 둘레 3m, 높이 15m 정도이다.
-효자 유후양의 묘소 : 도리티고개 마루에 있는데 부모를 잘 모셔서 정려를 받았다. 효자 증 가선대부 호조참판 유공 지묘 후양(孝子 贈 嘉善大夫 戶曹參判 兪公 之墓 後揚). 창원 사람이다.
-삼거리 : 도리티 아래에 있는 마을, 세 갈래 길이 있으며, 주막과 마방(馬房)이 있었다고 한다.
-대장간 모퉁이 : 도리티 아래에 있었으며 대장일을 하던 곳이다. 이 부근에 철을 채취하던 곳이 있다.
-부영아파트 단지 : 부영아파트 단지와 이웃 응원리 막실은 연추형(제비집 형국)이라 부자가 되는 자리라고 예전부터 지관들이 탐냈다고 하는데, 이곳에 큰 아파트 단지가 들어선 것을 보면 모두 맞는 듯하다.
 
▶삼성2리
-됫골 : 동네 뒤의 작은 골을 말한다.
-모시골 : 예전에 작은 원이 있어서 선비들이 말을 타고 넘나들며 쉴 때 종자들이 쉬던 곳인데 종자들이 상전을 모시고 온다 하여 모시골이라 하였다. 지금은 천안-논산간 고속도로가 신설되면서 이곳에 남천안 인터체인지가 생겼다. 옛 지명이 예사롭지 않다.
-갓골 : 동네 앞산으로 갓처럼 뾰쪽하다.
-큰골 : 동네에서 제일 높은 산이다.
-작은골 : 큰골 옆의 작은 고랑을 말한다.
-조봉골 : 동네 앞의 높은 봉우리다.
-샘골 : 산 밑에 샘이 있는데 물맛이 좋다. 옻 치료에 효험이 있다고 한다.
-덕골 : 덕곡이라고도 하며 매봉 밑에 있는 골짜기다. 큰 바위가 있다.
-범독산 : 범이 홀로 앉아 있는 형상이라 한다. 혹자는 독수리가 호랑이를 쫓는 형상이라고도 한다.
-향나무거리 : 동네 끝에 있다. 소나무, 느티나무, 향나무가 같이 서 있었는데 소나무는 죽고 향나무와 느티나무만 남아 있다. 느티나무는 수령이 250년, 둘레가 3.5m, 높이는 12m 정도이다.
-진주유씨 사당 : 진주 유씨 사윤공파의 사당이다. 1998년에 새로 지었다.
-매봉 : 응봉이라고도 한다. 삼층거리 앞에 있는 매처럼 생긴 산이다.
-모실 : 삼층거리 아래에 있는 마을.
-사봉(砂峯) : 나무가 별로 없어서 모래만 많이 보인다.
-새말 : 신촌이라고도 한다. 삼성리에 새로 만든 마을이었는데 현재는 없어졌다.
-삼층(三層)거리 : 삼성리에서 으뜸 되는 마을로 지형이 세 층으로 되어 있다.
 
▲도장리(桃長里)
도장리는 목천군 서면 관동, 진지리, 신기리, 장평리, 도전리 일부가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이루어진 마을인데, 마을명은 도전리의 ‘도’자와 장평리의 ‘장’자에서 유래된 것이다.
 
▶도장1리
-도전 : 평리 서쪽에 있는 마을로 봄이면 붉은 복숭아꽃이 만발하였으며, 행인들이 쉬어 가는 원(院)이 있었다.
-쇠점골 : 예전에 이곳에서 쇠가 많이 나왔다고 한다.
-쇠죽골 : 쇠점골에서 캔 쇠를 이곳에서 녹여 물건을 만들었다고 한다.
-신지 : 새로 마을을 이루어 몇 호가 산다.
-진지골 : 진지골의 원명은 진주동(眞珠洞)이다. 진지골은 풍수학적으로 진주옥반형(眞珠玉盤形)이라 한다.
-동고정골 : 예전에 동헌이 있었는데, 동헌 뒤의 높은 산이라 하여 동고정골이라 했다고 한다.
-안작골 : 피난을 피할 수 있다 하여 안작골이라 한다.
-돌고개 : 신기에서 성남면 용원리로 넘어가는 작은 고개로 목천읍과 성남면과의 경계를 이룬다. 이 고개에 서낭당이 있었다. 지나가는 행인들이 소원을 빌기 위하여 돌을 던져 놓은 돌더미가 많아 돌고개라고 하는데, 지금은 돌더미를 볼 수 없다. 현재 2차선으로 확장되어 포장된 군도 1호선이 지나가고 있다.
-각골 : 동네 앞의 작은 골짜기로 소뿔처럼 뾰족하게 생겼다.
-마당골 : 산의 고랑이 마당처럼 둥글고 아늑하다.
-수정골 : 예전에 이곳에서 수정을 캤다고 한다.
-큰골 : 마을 뒤에 있는 고랑으로 동네에서 가장 큰 골짜기다.
-작은골 : 동네 뒤에 있는 작은 골짜기다.
-건너골 : 옛날에 여자 혼자 움막을 짓고 외롭게 살았다 하여 건여골(乾女谷)인데 부르기 쉽게 건너골이라 한다.
-장골 : 골이 길다 하여 장골이라고 부른다.
-가마골 : 가마(숯)를 구웠던 곳이라 하여 가마골이라고 부른다.
-윗말 : 옛날에 진지골 동쪽으로 동네(마을)가 있었는데 지금은 없어졌다.
-족보바위 : 청송 심씨의 사패지기(賜牌地基)로 전해 온다. 일이 잘못되어 역적으로 몰리자 이 바위에 구멍을 파서 족보를 감추었다고 한다. 도장리 뒷산(산직골) 중턱에 있는데 청송 심씨 세장지지(靑松 沈氏 世葬之地)라고 각석되어 있다.
-중드렁골 : 예전에 중이 탁발한 것을 가지고 가다가 힘이 들어서 낮잠을 잔 곳 이라고 한다.
-성당터 : 일제 말에 성당이 있었는데 신도가 없어서 이사했다.
-동정골 : 동학 때 이곳에 올라 관망하던 곳으로 동의정골이라고도 한다. 그 이전에는 관청의 동헌이 동정골 초입에 있었다고 한다.
-귀골 : 관동(官洞)이라고도 한다. 고려 시대에 관청이 있던 곳이라 하여 관동이라 했다.
-향교(鄕校)골 : 산직골, 진지골 진입로 옆 골짜기로 구 목천현의 향교가 있었다고 한다.
-옥배미 : 옛 목천현의 읍치지(邑治地)이었을 당시 옥(獄)이 이곳에 있었다고 하는데, 동네 입구에 있다.
-원(院)자리 : 관동(官洞)에 읍치(邑治)가 있을 당시 원(院)이 있던 자리라고 하는데, 도전 앞에 있다.
-산직골 : 신기 뒤에 있는 골짜기로, 산지기 집이 있었다고 한다.
-파두댓골 : 동네 밑의 작은 골로 팥을 심어도 두어 되 밖에 안 나와서 파두댓골이라고 한다.
-기와집골 : 도전 앞에 있는 골짜기로, 기와집이 있었다.
 
▶도장2리
-웃말 : 예전에 마을이 있었는데 지금은 사람이 살던 터만 확인 할 수 있다.
-치청(治政)자리 : 목천현의 치정이 이곳에 있었다고 한다. 장평마을 복판에 있다.
-내 건너집 : 장평(평리)마을 뒤의 내 건너 산 아래에 있는 집. 현재 두 가구가 있는데, 얼마 전만 해도 한 집엔 은진 송씨가 살았다.
-주랍골 : 평리 위쪽에 있는 골짜기다. 현재 여섯 가구가 살고 있고, 돈사 공장이 있다.
-평장 : 명당자리라 하여 몰래 묘를 평장으로 썼다가 들통나서 송사를 했다고 한다.
-됫골 : 동네 뒤에 있는 작은 고랑을 말한다.
-만주답골 : 평리마을 안쪽에 있다.
-탑상골 : 돌로 쌓은 높은 탑이 있었는데 새마을 사업으로 농로 확장시 철거되어 없어졌다. 예전에 화전민이 농사지으면서 모아 놓은 돌들이다.
-법석골 : 예전에 절이 있었다고 한다.
-작은앙골 : 마을 앞의 작은 고랑을 말한다.
-너넝골 : 법석골 뒤를 너넝골이라고 한다.
-소쿠내미 : 소쿠리처럼 둥글고 움푹하다. 예전에 소쿠리로 이곳에서 쇠를 담아냈다고 한다. 혹자는 지형이 소쿠리 형상을 하고 있어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강성재 : 강성골로 가는 고개다.
-거즈당골 : 예전에 이곳에 당집이 있었다고 한다.
-전주암자 : 진지골에서 한티로 넘어가는 고개 중간 지점에 있는 암자.
-한티고개 : 귀골에서 성남면 한티로 넘어가는 고개.
-상수몽 : 옛날 이곳에서 아이들, 어른들이 주야 미역을 감던 곳이다.


천안신문 후원.png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