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4.06.03 16:17
Today : 2024.06.04 (화)

  • 맑음속초13.8℃
  • 맑음10.4℃
  • 맑음철원11.3℃
  • 맑음동두천12.1℃
  • 맑음파주12.7℃
  • 맑음대관령2.4℃
  • 맑음춘천11.2℃
  • 맑음백령도15.4℃
  • 구름조금북강릉12.9℃
  • 맑음강릉13.9℃
  • 맑음동해12.7℃
  • 맑음서울16.7℃
  • 맑음인천18.8℃
  • 맑음원주12.8℃
  • 구름많음울릉도14.9℃
  • 맑음수원15.1℃
  • 맑음영월8.6℃
  • 맑음충주11.0℃
  • 맑음서산16.2℃
  • 맑음울진11.8℃
  • 맑음청주17.2℃
  • 맑음대전15.4℃
  • 맑음추풍령12.1℃
  • 맑음안동11.6℃
  • 맑음상주12.9℃
  • 구름조금포항15.9℃
  • 맑음군산16.1℃
  • 맑음대구13.3℃
  • 맑음전주16.5℃
  • 맑음울산14.6℃
  • 맑음창원14.9℃
  • 맑음광주17.1℃
  • 맑음부산15.2℃
  • 맑음통영15.3℃
  • 맑음목포16.7℃
  • 맑음여수17.6℃
  • 맑음흑산도15.5℃
  • 맑음완도15.6℃
  • 맑음고창14.9℃
  • 맑음순천14.1℃
  • 맑음홍성(예)16.3℃
  • 맑음14.5℃
  • 맑음제주17.6℃
  • 맑음고산17.1℃
  • 맑음성산17.5℃
  • 맑음서귀포17.8℃
  • 맑음진주16.2℃
  • 맑음강화13.1℃
  • 맑음양평12.5℃
  • 맑음이천12.0℃
  • 맑음인제8.9℃
  • 맑음홍천9.4℃
  • 맑음태백6.0℃
  • 맑음정선군6.0℃
  • 맑음제천8.4℃
  • 맑음보은12.7℃
  • 맑음천안13.1℃
  • 맑음보령15.2℃
  • 맑음부여14.5℃
  • 맑음금산13.9℃
  • 맑음15.1℃
  • 맑음부안16.0℃
  • 맑음임실15.3℃
  • 맑음정읍15.5℃
  • 맑음남원16.4℃
  • 구름조금장수13.0℃
  • 맑음고창군13.8℃
  • 맑음영광군14.8℃
  • 맑음김해시14.1℃
  • 맑음순창군15.5℃
  • 맑음북창원15.1℃
  • 맑음양산시14.0℃
  • 구름조금보성군16.3℃
  • 맑음강진군15.2℃
  • 맑음장흥14.8℃
  • 맑음해남15.9℃
  • 구름조금고흥14.6℃
  • 구름조금의령군14.8℃
  • 구름많음함양군16.9℃
  • 구름조금광양시15.9℃
  • 맑음진도군13.5℃
  • 맑음봉화6.5℃
  • 맑음영주9.6℃
  • 맑음문경11.4℃
  • 맑음청송군8.7℃
  • 맑음영덕12.6℃
  • 맑음의성10.0℃
  • 맑음구미13.5℃
  • 맑음영천11.2℃
  • 구름조금경주시14.7℃
  • 구름조금거창15.4℃
  • 맑음합천14.9℃
  • 맑음밀양14.2℃
  • 구름많음산청16.1℃
  • 맑음거제13.5℃
  • 구름조금남해16.0℃
  • 맑음13.4℃
기상청 제공
[독자기고] 신탁통치에 대하여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독자기고] 신탁통치에 대하여

3718152818_RHFwiTGf_89ea09aea0c0313b4d3bfaffc518fcedfcc68d39.jpg
▲ 조환동 자유기고가.

[천안신문] 신탁(信託)은 '믿을 신(信)'에 '부탁할 탁(託)'을 쓴다. 믿고 부탁한다는 말이다.

 

금융신탁은 일정한 목적에 따라 재산의 관리와 처분을 남에게 맡긴다는 말이다.

 

당연히 맡기는 게 이롭기 때문에 맡기는 것이고, 돈을 불리거나 재산을 관리하려고 전문가(신탁회사)에게 맡기는 것이다. 전문가 시대에 어울리는 적합한 방식이다.

 

신탁통치(信託統治·Trusteeship)란 유엔의 신탁을 받은 국가가 일정한 지역이 자체 통치 능력을 갖출 때까지 대신 통치해 주는 제도다.

 

유엔헌장에 규정되어 있다. 신탁통치는 '독립'을 전제로 한 조치였기에, 피신탁국들은 1950·60년대에 독립을 완수하여 주권을 회복하였고, 90년대까지 신탁통치를 받은 나라는 팔라우 뿐이었다.

 

신탁통치를 받은 국가들은 독립과 함께 통일에도 성공했는데 동서 카메룬, 동서 토고, 소말릴란드, 탄자니아 등이다.

 

한국은 1945년 해방된 지 얼마 되지 않은 상황에서, 신탁통치는 국민들과 지도자들에게 '또 다른 형태의 식민통치'라고 받아들여져 반발이 있었다. 

 

당시 스스로 통치할 능력도 없으면서 무조건 신탁통치 결사반대를 외쳤다고 볼 수 있다. 독립된지 70여년, 지금의 한국의 최고 정치지도자들이, 과연 통치할 만한 자질을 갖추고 있다고 보는지?


천안신문 후원.png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