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4.05.30 15:51
Today : 2024.05.30 (목)

  • 흐림속초19.8℃
  • 흐림23.1℃
  • 흐림철원22.5℃
  • 흐림동두천22.0℃
  • 흐림파주22.4℃
  • 흐림대관령19.2℃
  • 흐림춘천23.6℃
  • 흐림백령도17.2℃
  • 흐림북강릉19.8℃
  • 흐림강릉22.5℃
  • 흐림동해24.3℃
  • 흐림서울24.1℃
  • 흐림인천22.5℃
  • 흐림원주24.8℃
  • 흐림울릉도19.4℃
  • 흐림수원23.8℃
  • 흐림영월24.2℃
  • 흐림충주24.8℃
  • 흐림서산23.4℃
  • 흐림울진23.6℃
  • 흐림청주25.8℃
  • 흐림대전25.0℃
  • 흐림추풍령23.7℃
  • 흐림안동25.0℃
  • 흐림상주24.7℃
  • 흐림포항26.0℃
  • 흐림군산24.7℃
  • 흐림대구25.7℃
  • 흐림전주25.6℃
  • 흐림울산24.4℃
  • 구름많음창원25.0℃
  • 흐림광주26.0℃
  • 흐림부산22.8℃
  • 흐림통영22.5℃
  • 흐림목포24.2℃
  • 흐림여수22.7℃
  • 흐림흑산도20.8℃
  • 흐림완도25.4℃
  • 흐림고창27.1℃
  • 흐림순천24.3℃
  • 흐림홍성(예)24.7℃
  • 흐림24.1℃
  • 흐림제주23.1℃
  • 구름많음고산21.4℃
  • 구름많음성산23.5℃
  • 구름많음서귀포23.6℃
  • 구름많음진주26.5℃
  • 흐림강화21.9℃
  • 흐림양평23.1℃
  • 흐림이천23.3℃
  • 흐림인제22.5℃
  • 흐림홍천23.5℃
  • 흐림태백21.0℃
  • 흐림정선군25.3℃
  • 흐림제천24.4℃
  • 흐림보은23.5℃
  • 흐림천안24.9℃
  • 흐림보령22.3℃
  • 흐림부여24.3℃
  • 흐림금산24.7℃
  • 흐림24.4℃
  • 흐림부안24.2℃
  • 흐림임실24.0℃
  • 흐림정읍26.5℃
  • 흐림남원25.0℃
  • 흐림장수23.6℃
  • 흐림고창군25.8℃
  • 흐림영광군25.2℃
  • 구름많음김해시25.1℃
  • 흐림순창군25.2℃
  • 흐림북창원25.4℃
  • 구름많음양산시25.8℃
  • 흐림보성군24.1℃
  • 흐림강진군25.4℃
  • 흐림장흥24.2℃
  • 흐림해남24.5℃
  • 흐림고흥23.8℃
  • 구름많음의령군27.1℃
  • 흐림함양군25.5℃
  • 흐림광양시25.5℃
  • 흐림진도군22.7℃
  • 흐림봉화24.2℃
  • 흐림영주25.0℃
  • 흐림문경24.7℃
  • 흐림청송군24.8℃
  • 흐림영덕20.6℃
  • 흐림의성24.8℃
  • 흐림구미25.6℃
  • 흐림영천24.6℃
  • 흐림경주시26.0℃
  • 흐림거창23.8℃
  • 흐림합천25.4℃
  • 흐림밀양25.9℃
  • 구름많음산청25.1℃
  • 흐림거제23.5℃
  • 흐림남해23.6℃
  • 구름많음26.8℃
기상청 제공
[건강칼럼] 50대 이상, 눈 나빠지면 ‘망막혈관’ 꼭 점검하세요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북구

[건강칼럼] 50대 이상, 눈 나빠지면 ‘망막혈관’ 꼭 점검하세요

안과 조인환.jpg
▲ 조인환 교수 / 순천향대학교 부속 천안병원 안과

[천안신문] 망막은 안구 뒤 벽에 붙어 있는 얇은 신경막으로 수많은 망막혈관에 의해 영양분과 산소를 공급받아 정상 기능을 유지한다. 

 

망막혈관 폐쇄는 이들 혈관이 막혀 시력과 시야에 장애가 발생하는 질환군으로 주로 50대 이상에서 발생한다. 정확한 발병 원인은 아직 밝혀져 있지 않다. 

 

하지만 동맥경화증,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등이 주요 위험인자이고, 음주, 흡연, 과격한 운동, 호르몬이나 이뇨제의 복용도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망막의 혈관은 크게 심장으로부터 눈으로 들어오는 영양분과 산소가 풍부한 동맥과 망막에서 이를 공급하고 다시 심장으로 돌아가는 정맥으로 나뉜다. 망막혈관 폐쇄는 막히는 혈관의 종류와 위치에 따라 증상 및 치료법이 달라지기 때문에 이를 구분해 살펴봐야 한다.

 

동맥 폐쇄…눈에 오는 중풍

 

망막혈관 폐쇄 중 가장 심한 형태는 색전증이나 혈전증에 의해 망막동맥이 막혀 망막에 허혈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망막 중심동맥 폐쇄(그림B)와 망막 분지동맥 폐쇄(그림C)로 나눌 수 있다. 중심동맥 폐쇄는 갑작스러운 시력상실을 일으키나 분지동맥 폐쇄의 경우 발생위치에 따라 시력이 보존되는 경우도 있다. 

 

눈에 오는 중풍이라고 일컬어지며, 실제 망막동맥 폐쇄가 있는 환자에서 중풍의 발생률이 증가한다. 망막동맥이 폐쇄된 후 골든타임은 24시간이다. 

 

하지만 시간 내에 혈전용해제를 투여해 망막의 혈류를 회복시켜도 시력이 크게 회복되기는 어렵다. 안구를 마사지하거나 안압을 낮춰 혈류를 개선시키는 치료도 시도되고 있으나 그 치료효과도 명확하지 않다. 따라서 평소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등을 철저히 관리하고, 운동, 식이요법 등으로 예방하는 것이 최선이다.

 

정맥폐쇄…출혈, 부종으로 시력저하

 

망막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한 후 심장으로 돌아가는 정맥이 폐쇄되어 혈액이 정체되다 혈관이 터져 출혈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망막동맥 폐쇄보다 흔히 발생하며, 막히는 위치에 따라 망막중심정맥 폐쇄(그림D)와 망막분지정맥 폐쇄(그림E)로 나눌 수 있다. 

 

중심시력을 담당하는 황반부의 부종에 의해 발생하는 시력저하가 주된 증상이다. 중심정맥 폐쇄가 분지정맥 폐쇄보다 증상이 심하고 예후도 불량하다. 

 

황반부의 부종을 감소시켜 시력을 보존하고, 신생혈관 녹내장과 같은 2차적인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이 치료의 목표다. 안구 내 주사를 시행하거나 레이저 치료를 한다. 

 

안구 내 주사의 경우 약효가 약 한달 정도 지속되므로 반복적인 주사가 필요할 수 있다. 망막정맥 폐쇄가 한번 발생한 눈은 치료가 잘되어도 원래의 시력을 회복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예방하려면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등을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

 

양쪽 시력 차이나면 안과 검진 필요

 

망막혈관 폐쇄는 일단 발생하면 정상시력을 회복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위험 인자를 잘 관리해 발생을 예방하는 것이 최선이다. 

 

또한 이들 질환은 대개 한눈에만 발생하기 때문에 발견이 늦어져 치료시기를 놓치는 경우도 많다. 평소 한쪽 눈씩 가려 양쪽 눈의 시력을 체크하고 차이가 난다면 안과 방문과 검진이 필요하다.


천안신문 후원.png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