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AI 확산 어떻게든 막아야

기사입력 2014.01.27 09:27 댓글수 0

SNS 공유하기

fa tw
  • ba
  • ks url

    [천안저널]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확산 조짐을 보이면서 방역당국과 축산 농가에 비상이 걸렸다.

    전북 고창에서 시작된 조류인플루엔자가 부안으로 확산되는 등 23일 현재 모두 8개 농장에서 AI 확진 판정이 내려졌다.

    이에 정부는 사상 처음으로 전남북·광주 지역에 ‘일시 이동중지 명령’(Standstill)을 내리는 등 총력전을 펼치고 있는 가운데, 앞으로 며칠간이 전국 확산 여부가 판가름 나는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인다.

    스탠드스틸이 발동됨에 따라 전남북·광주 지역의 가금류와 축산 종사자 14만여명, 축산 차량 2만여대의 이동이 48시간 동안 금지됐다. 스탠드스틸 발동은 지난 2012년 제도가 도입된 이래 처음이다. 정부가 이번 사태를 얼마나 심각하게 보고 있고, 경각심을 갖지 않으면 안 되는지를 보여주는 단면이다.

    천안시도 가금류 집단사육단지를 중심으로 방역통제초소를 추가로 설치하는 등 방역을 강화하고 나섰다.

    시는 전북 부안의 AI 발생과 함께 운영하던 풍세면 용정리 용정단지 진입로 방역초소 외에 용정리 남관교 앞과 병천면 도원교차로 등 3곳에 추가로 방역통제초소를 설치하고 운영에 돌입했다.

    특히 풍세면 용정단지 보호를 위해 용정리에 설치된 3개 초소에서는 차량 및 사람의 출입을 통제하는 구간폐쇄를 실시하며, 시민들의 협조를 당부했다.

    그동안 우리 정부와 축산 농가에서는 AI 우려에 대해 안일하게 대응해 온 것이 사실이다.

    최근 10년 동안 다섯 번이나 AI가 발생했지만, 정부는 그때마다 근본적인 대책을 세우지 못한 채 발생지역을 중심으로 방역활동에만 몰두했다.

    또 지난해 방역의무 위반으로 부가된 과태료 건수가 전년대비 약 10배 늘어나는 등 방역 의식도 낙제점을 면치 못하고 있다.

    특히, 2770만명이 전국 각지로 이동할 것으로 전망되는 설 연휴를 앞두고 있어 AI 전국 확산 우려는 그 어느 때보다 높은 상황이다.

    관련 부처들은 지자체와 체계적인 협력 시스템을 통해 방역이나 출입 통제에 만전을 기해 AI가 전국으로 확산되는 것만은 반드시 막아내야 한다.


    천안신문 후원.png


    뉴스

    동네방네

    People

    backward top home